Spring
스프링 - 현재 실습 프로젝트 진행 상황
마루설아
2025. 7. 21. 19:58
중간중간 쉬었던 기간도 있고 앞으로도 계속 쉬고싶은 나쁜(?) 마음이 자꾸 들어서
지금까지 구현해본 기능들을 소개해보려 한다.
메인 페이지이다. 지금은 단순 게시판의 CRUD 기능과 페이징 처리가 구현되어 있다.
게시글을 작성 후 조회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다.
CRUD 모든 기능은 일단 구현이 되어있다.
지금은 댓글 CRUD를 REST API와 AJAX를 활용하여 구현 중이다.
자바스크립트와 jsp에서 현재 댓글 CRUD를 구현 중이다.
아래는 reply.js이다.
console.log("Reply Module......");
var replyService = (function(){
// 댓글 작성 처리
function add(reply, callback, error){
console.log("add reply..............");
$.ajax({
type : 'post',
url : '/replies/new',
data : JSON.stringify(reply),
contentType : "application/json; charset=utf-8",
success : function(result, status, xhr) {
if (callback) {
callback(result);
}
},
error : function(xhr, status, er) {
if (error) {
error(er);
}
}
})
}
// 댓글 목록 조회
function getList(param, callback, error) {
var bno = param.bno;
var page = param.page || 1;
$.getJSON("/replies/pages/" + bno + "/" + page + ".json",
function(data){
if (callback) {
callback(data);
}
}).fail(function(xhr, status, err) {
if (error) {
error();
}
});
}
return {
add : add,
getList : getList
};
})();
아래는 get.jsp의 스크립트 부분이다.
<!-- 댓글 관련 스크립트 불러오기 --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 src="/resources/js/reply.js"></script>
<!-- 댓글 관련 스크립트 구현 -->
<script>
console.log("=================");
console.log("JS TEST");
var bnoValue = '<c:out value="${board.bno}"/>';
// 댓글 목록 조회 테스트
replyService.getList({bno:bnoValue, page:1}, function(list){
for(var i = 0, len = list.length||0; i < len; i++){
console.log(list[i]);
}
});
// 댓글 작성 테스트
/*
replyService.add(
{reply:"JS Test", replyer:"tester", bno:bnoValue}
,
function(result){
alert("RESULT : " + result);
}
);
*/
</script>
앞으로 더 실습해야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.
AOP, 파일 업로드 및 조회, 로그인 및 로그아웃, 스프링 시큐리티
끝!
P.S. 공부하는 건 좋지만 무리하지 말고 쉬엄쉬엄 하자..